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료배합기 버켓 밑 베어링 유지보수방법

#유지보수 #F318 #버켓밑베어링 #사료배합기 
사료배합기의 버켓(사료투입기) 밑 베어링 유지보수 관련하여 확인 시켜 드립니다. 베어링의 알맹이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생각보다는 오랬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기계를 좀 오래쓰시고 싶다면, 자가 치료도 할 줄 아셔야겠죠.
 2000년대 후반부터 버켓 밑 베어링은 F318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조금은 큰베어링규격입니다. 사료배합기의 진동발산이 해소할 곳이 없기 때문에 오거 베어링이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리스 주입을 1달이면 한 번 씩 하시면서 유지보수 활동을 하셔야죠. 혹은 알맹이가 이빨 빠지듯 다 빠져 나오기 전까지 베어링을 한 두 개 여벌을 준비해뒀다가 작업을 하시는게 낳습니다. 베어링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인터넷에 보면 케이스만도 파는데, 케이스가 약 48,000원정도 물론 배송비는 별도일거구요. 알맹이 베어링 UC318은 122,000원에 배송비 별도네요. 무게가 좀 나갑니다. 그런데, 이 제품 권장할 수가 없네요. 20만원 안짝이지만, 질적인 문제에 봉착합니다.

그런데, 이걸 완전히 믿어도 될까 싶은 일이 늘 발생합니다. 
베어링 수준의 차이가 있나봅니다. 일본산 베어링은 국내가격의 2~3배(60만원짜리 일본서 확인) 이상의 가격으로 판매가 됩니다.  그래서 일본현지에서도 일본 귀국할 때 베어링을 한국에서 사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중국산을 무조건 싸다고만 보기도 어렵습니다. 이젠 수준이 많이 올라왔나봅니다. 요즘 한국 회사의 중국 OEM 생산, 일본 회사의 중국 OEM 생산을 하는 대형 상용차 브랜드의 중국산 메이커의 수준이 상당하고 가격 또한 상당히 비싸다는 거...... 베어링의 정밀도에 따른 등급이 존재하고, 베어링 케이스의 눈 속임도 있습니다. 베어링 케이스의 두께의 외형규격은 동일한데, 실제로 구조를 잡아주는 판의 두께가 만져보면 얇은 경우를 발견하여 저가형 제품을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선택하면 안됩니다. 현재 대우상용차 베어링 공급업체의 중국산 OEM 생산제품을 현재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년간 사용해본바 검증은 되었네요. 이젠 메이커(국가가 아니라)네요.  
또한 베어링만 교환하는 일은 농가에서 하기가 다소 까다 롭습니다. 유압프레스가 없다면, 쉽지 않죠. 그러나 베어링 케이스 째로 교환하는 일은 쉽습니다. 그리고 베어링 케이스 째로 교환하시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이미 아래와 같은 정도 상황이 된다면, 케이스의 내부에 실금도 있을 수 있고, 한번 깨진 케이스(왜냐면 주물이거든요)는 어차피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베어링 케이스와 베어링을 동시에 교체할 때 꿀 팁은 사료를 내부에 넣어놓고 작업을 하면 된다는 겁니다.

베어링 교체 한다고 속을 비워놓으면 오거의 무게가 상당하여 베어링 케이스를 빼는 순간, 오거가 중력으로 내려앉습니다. 그러면 나중에 체인으로 들어올리고 쌩쑈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오차도 볼트를 끼울 수 없다는 거죠. 그러나 베어링 케이스를 교체할 때 사료를 넣어놓은 채로 꽉 채워놓으면, 오거가 중력으로 내려앉지 않고, 사료가 잡고 있습니다. 이럴 땐 사료를 넣고 작업을 해야 한다네요. 이것은 모든 배합기 회사가 동일할 것으로 봅니다. 꼭 실티 만이 아니라, 타기계 쓰시는 분들도 참고하세요.
 

베어링 내부가 드러날 정도가 이빨 빠진 모습이 되었네요. 구리수 주입을 한 번 놓치고 나면, 혹은 버켓 베어링이 흔들리고 있다면, 볼트가 풀렸을 수도있거든요. 

구리스 주입을 한다고 한들, 사료가 스며서 혹은 베어링의 내측링혹은 외측링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리스를 떡칠 까지는 아니여도, 주기성을 가지고 잘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정말 놓치지 않고 잘 관리해야, 베어링 교체 한번 없이 기계와 같이 베어링이 평생합니다. 베어링 집의 상부캡이 뜯겼네요.



 참고로 아시라고 위의 사진을 같이 첨부합니다.  가끔 문의 전화주실때 베어링 번호를 확인합니다. 왜냐하면 2000년대 초반의 경우 F314, F315, F316등 작은 베어링 모델들도 사용하였습니다. 따라서 주물로 베어링 겉 케이스에 확인 할 수 있도록 번호가 있습니다.  



제품을 뭐라 부르는지 서로 알면 대화가 통일 되겠죠. 완전히 교체 후 사진입니다. 분명히 분해는 조립의 역순이므로, 무리없이 작업 하실 수 있을 겁니다. AS 다녀오신분들한테서 작업하고 이런식으로 사진을 받으니 좋은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네요. 별거 아닌거 같아도. 급할 땐 보게 된다니까요. 포스팅만 공유해도 도움이 될때가 많네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티 사료배합기 카다로그

#솔밸브 #유압불량 #이상작동 #사료배합기 #솔밸브청소 #솔레노이드밸브 #솔레노이드

#솔밸브 #유압불량 #이상작동 #사료배합기 #솔밸브청소 #솔레노이드밸브 #솔레노이드 기계를 만질 줄 안다는 사람이 되는 길입니다. 주요 증상이 아래와 같을 때 한 번 풀러 보세요. 다만, 구형기계에서는 유압장치가 사료투입장치 밑에 있으므로 완전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이점을 깜빡하고 설명을 안해서 큰일 날 뻔 했네요. 동작 버튼에 의한 작동이 안되고 임의 동작이 된다거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사람으로 치면 뇌출혈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압장치의 특정부위를 간음하기 어렵지만, 이물질이 필터를 거치지 않고 들어가면서 솔밸브의 입구를 막을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멀쩡한 솔밸브 새로 살수 없으니, 한번쯤 청소를 각오해보는 것도 답입니다. 다른 농기계에서도 솔밸브를 이용한 유사한 유압장치들도 이렇게 작업하시면 도움이 되실껍니다. 분해는 아래와 같지만, 청소는 에어건, 유압유, WD등을 이용해서 청소를 해보세요. 작은 파티클(뭐 크기는 간음하기어렵지만, 실린더, 유압모터 교체 후 필터를 거치지 않은 유압유속의 파티클 좁쌀만해도 치명적임) 솔밸브 해체 및 조립시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해는 조립의 역순] ※ 솔레노이브 및 체크 밸브를 해체하거나 조립할때는 각별히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볼트를 풀거나 조일때, 필요 이상의 힘을 주거나 공구 사용이 미숙하면 볼트의 머리 부분이 망가질 수도 있는데 결과적으로 작업이 힘들어 질수도 있습니다. 1. 해체하기 전에 파란색 부분을 눌러주어 압력을 제거해줍니다. 아래쪽에도 동일한 것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있으면 그것도 눌러서 압력을 제거해줍니다. 2.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덮개를 엽니다. 3. 2~3 개의 전선이 있습니다. 각 전선에는 숫자 혹은 선의 개수로 각 선의 번호를 표시해놨습니다. 각 전선이 어느 단자에 물러 있는지 확인해둡니다. 단자의 위치를 그림으로 그리고 전선의 번호를 적어두면 좋습니다. 4. 육각렌치(4mm)를 이용해서 4개의 볼트를 해체합니다. ...

사료배합기 전자저울 불량 수리

​​​​​​​ #유지보수   #전자저울   #사료배합기   #로드셀 [전자저울 및 로드셀] 기계를 쓰다보면 가끔 센서의 고장으로 저울값 측정이 제대로 안될때가 있습니다. 가지수를 따지자면 여러가지라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큰틀에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간단한 원리 설명] 배합기의 상부와 하부, 마치 쟁반으로 사람이 들고 있는 모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손가락이 센서입니다. 손바닥은 프레임쯤으로 생각해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손바닥과 쟁반사이에 손가락만 있어야 하는데, 중간에 공이라도 놓여있다면 정확한 정밀계근이 불량해지죠. 하지만, 로드셀만으로 배합기를 들고 있다면 문제가 발생할수 있어서, 당사에서는 배합기의 이탈방지 볼트를 설치 해두었습니다. 그래서 이탈방지 볼트에 겨울철 고드름이 생성된다거나, 사료가 잔뜩 끼인다면 간섭이 발생할수 있겠죠. 그래서 어쩌다 한번씩은 청소를 해주시는 것이 올바른 사용방법입니다. (1) 로드셀 센서 불량  - 이건 교체뿐이 답이 없습니다. 제품에서 나타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