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실티 사료급이기 차량형

#차량사료급이기 #사료급이기 #실티
오랜만에 올려봅니다.
차량급이기입니다.

사료를 줄 때 큰고민이, 밥주는 일. 차량으로 줄 수 있으려면 여러 제약요소가 걸립니다.
높은곳까지 올려줄 컨베이어 하나쯤 준비해 둬야겠지요.

오늘은 차량급이기의 배출과정을 중점적으로 회사에서 제품만들고 시연해 본 장면 입니다. 조사료 세절길이를 다소 길게하고, 한우에서 적용하는 사료를 활용하였습니다. 낙농은 사료가 고운편이라 잘 배출되지만, 사료급이기들이 체인컨베이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배출막힘 증상이 있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체인컨베이어의 단점은 체인에 조사료가 기계를 고장내는게 또 일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억지로 배출이 잘되지 않도록 연출하여 급이기 내부에 터널이 발생할수 있도록, 급이기 위에서 사료를 쌓아놓고, 눌러담기. 사람이 올라가 눌러놓고 시작했습니다.

사료가 균일하게 무너지지 않으면 균일하게 배출이 어렵겠죠.
그래서 로터리를 이용하여 2중으로 사료 뭉침을 해체하며 배출하고,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멀리 날려줄수 있도록 속도도 조절해 보았습니다.

원래 배출 컨베이어를 조금은 튀어나오게(배컨튀)해서 배출간에 눈으로 낙지점 확인을 하게 만드는 게 일반적인데, 구입고객이 원하시는 규격이 나오는 걸 원치 않아 적재함싸이즈로 만들어 배출컨베이어의 속도를 높혔습니다.

모든 기능은 완벽히 무선리모콘에 의해 제어됩니다.

또한 사료급이기의 최대 단점은 급이기의자중이 사료까지 하게되면 적재함과적이 문제죠. 그래서 우린 스텐이리스 얇은 철판을 이용하여 적재크기를 확장을 했습니다.

또한 분리형으로 차량과 완전분리되어 있어,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사료급이기를 제거하면 검사를 쉽게 맡을수도 있게 되었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솔밸브 #유압불량 #이상작동 #사료배합기 #솔밸브청소 #솔레노이드밸브 #솔레노이드

#솔밸브 #유압불량 #이상작동 #사료배합기 #솔밸브청소 #솔레노이드밸브 #솔레노이드 기계를 만질 줄 안다는 사람이 되는 길입니다. 주요 증상이 아래와 같을 때 한 번 풀러 보세요. 다만, 구형기계에서는 유압장치가 사료투입장치 밑에 있으므로 완전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이점을 깜빡하고 설명을 안해서 큰일 날 뻔 했네요. 동작 버튼에 의한 작동이 안되고 임의 동작이 된다거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사람으로 치면 뇌출혈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압장치의 특정부위를 간음하기 어렵지만, 이물질이 필터를 거치지 않고 들어가면서 솔밸브의 입구를 막을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멀쩡한 솔밸브 새로 살수 없으니, 한번쯤 청소를 각오해보는 것도 답입니다. 다른 농기계에서도 솔밸브를 이용한 유사한 유압장치들도 이렇게 작업하시면 도움이 되실껍니다. 분해는 아래와 같지만, 청소는 에어건, 유압유, WD등을 이용해서 청소를 해보세요. 작은 파티클(뭐 크기는 간음하기어렵지만, 실린더, 유압모터 교체 후 필터를 거치지 않은 유압유속의 파티클 좁쌀만해도 치명적임) 솔밸브 해체 및 조립시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해는 조립의 역순] ※ 솔레노이브 및 체크 밸브를 해체하거나 조립할때는 각별히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볼트를 풀거나 조일때, 필요 이상의 힘을 주거나 공구 사용이 미숙하면 볼트의 머리 부분이 망가질 수도 있는데 결과적으로 작업이 힘들어 질수도 있습니다. 1. 해체하기 전에 파란색 부분을 눌러주어 압력을 제거해줍니다. 아래쪽에도 동일한 것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있으면 그것도 눌러서 압력을 제거해줍니다. 2.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덮개를 엽니다. 3. 2~3 개의 전선이 있습니다. 각 전선에는 숫자 혹은 선의 개수로 각 선의 번호를 표시해놨습니다. 각 전선이 어느 단자에 물러 있는지 확인해둡니다. 단자의 위치를 그림으로 그리고 전선의 번호를 적어두면 좋습니다. 4. 육각렌치(4mm)를 이용해서 4개의 볼트를 해체합니다. ...

사료배합기 전자저울 불량 수리

​​​​​​​ #유지보수   #전자저울   #사료배합기   #로드셀 [전자저울 및 로드셀] 기계를 쓰다보면 가끔 센서의 고장으로 저울값 측정이 제대로 안될때가 있습니다. 가지수를 따지자면 여러가지라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큰틀에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간단한 원리 설명] 배합기의 상부와 하부, 마치 쟁반으로 사람이 들고 있는 모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손가락이 센서입니다. 손바닥은 프레임쯤으로 생각해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손바닥과 쟁반사이에 손가락만 있어야 하는데, 중간에 공이라도 놓여있다면 정확한 정밀계근이 불량해지죠. 하지만, 로드셀만으로 배합기를 들고 있다면 문제가 발생할수 있어서, 당사에서는 배합기의 이탈방지 볼트를 설치 해두었습니다. 그래서 이탈방지 볼트에 겨울철 고드름이 생성된다거나, 사료가 잔뜩 끼인다면 간섭이 발생할수 있겠죠. 그래서 어쩌다 한번씩은 청소를 해주시는 것이 올바른 사용방법입니다. (1) 로드셀 센서 불량  - 이건 교체뿐이 답이 없습니다. 제품에서 나타나는...

실티 사료배합기 카다로그